[Python] sort()와 sorted()로 정렬하기
파이썬 리스트는 sort() 라는 메소드를 가지고 이 메소드는 리스트를 정렬된 상태로 변경한다. 또 sorted() 라는 내장 함수는 이터러블 객체로부터 정렬된 리스트를 생성한다. 파이썬에서 간단하게 정렬을 실행하려면 다음과 같이 sorted()를 호출하면 된다. sorted()는 기존의 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한다. >>> sorted([4, 2, 3, 5, 1]) [1, 2, 3, 4, 5] 리스트의 메소드인 sort()를 사용하여도 정렬이 된다. 이 경우에는 리스트 자체를 변경해 버린다. 일반적으로 이것보다는 내장함수인 sorted()가 더 편리하다. >>> myList = [4, 2, 3, 5, 1] >>> myList.sort() >>> myList [1, 2,..
2018. 10. 27.
[Python] COMPREHENSION (컴프리헨션)
리스트 컴프리헨션 (List Comprehension)파이썬은 리스트 컴프리헨션(list comprehensions, 리스트 함축)이라는 개념을 지원한다.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진다. 위의 형식을 풀어쓴다면 다음과 같다. new_list = [] for i in old_list: if filter(i): new_list.append(expression(i)) 다음 예제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. >>> [x**2 for x in range(10)] [0, 1, 4, 9, 16, 25, 36, 49, 64, 81] 다음은 조건이 붙는 리스트 컴프리헨션 예제이다. >>> [x for x in range(10) if x%2 == 0] [0, 2, 4, 6, 8] 숫자가 아닌 자료형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. ..
2018. 10. 27.
[Python] 리스트의 기초 연산들
리스트의 합병과 반복두개의 리스트를 합칠 때는 연결 연산자인 +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. >>> list1 = [1, 2, 3] >>> list2 = [4, 5. 6] >>> list = list1 + list2 >>> list [1, 2, 3, 4, 5, 6] 리스트를 반복하는 것은 반복 연산자인 * 를 사용하면 된다. >>> val = [1, 2, 3] * 3 >>> val [1, 2, 3, 1, 2, 3, 1, 2, 3] 리스트의 길이len() 연산은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여 반환한다. >>> letters = ['a', 'b', 'c', 'd'] >>> len(letters) 4 요소 추가하기append() 를 사용해서 리스트의 끝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. >>> list = [1, 2]..
2018. 10. 27.